과학

서울 명일동 싱크홀 사망: 그라우팅 약액 주입했나?

hydrolee 2025. 3. 28. 09:17
반응형

2025년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는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닌, 인재(人災) 가능성이 제기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사고로 한 시민이 목숨을 잃었고, 사고 지점 지하에서는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공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특히 지반이 풍화토로 이루어진 데다 지하수와 경사로가 존재하는 복합적인 조건에서, 지반을 보강하고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시행됐어야 할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작업’이 부실하게 이루어졌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명일동 땅꺼짐, 출처: 이데일리

 

사고 현장에는 강관만 남아 있을 뿐, 시멘트나 약액 주입의 흔적이 보이지 않아 정밀 시공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으며, 실제로 소방당국도 약액 흔적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더욱이 사고 발생 전, 공사 관계자가 붕괴 우려를 담은 민원을 서울시에 두 차례나 제기한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시공 품질 관리와 행정 대응의 적절성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의 개념, 절차, 중요성, 그리고 시공 부실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강관다단그라우팅, 출처: 테크마켓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작업이란?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작업(steel pipe multi-stage grouting)**은 지반 내에 설치한 강관을 통해 **여러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그라우팅(Grouting)**을 수행하는 공법으로, 목표하는 지층에 정밀하게 그라우트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지반 강화, 차수성 확보, 지하수 유로 차단, 또는 오염물 차폐 등을 목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깊이에 걸친 구간별 주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일 구간 그라우팅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지반 처리 작업이 가능합니다.

강관다단그라우팅, 출처: DK건설


1. 기본 개념 및 구성 요소

1.1. 강관 (Steel Casing 또는 Injection Pipe)

  • 일반적으로 내부가 빈 강철 재질의 주입용 관을 사용합니다.
  • 외경은 작업 목적에 따라 다양하지만, 40~100 mm 내외의 강관이 많이 쓰입니다.
  • 강관에는 **주입공(packer port)**이 일정 간격으로 뚫려 있으며, 이 주입공은 각각의 그라우팅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됩니다.

1.2. 패커(Packer)

  • 각 주입구를 분리하여 해당 구간만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계식 또는 팽창식 밀봉 장치입니다.
  • 고무나 특수 합성소재로 만들어지며, 고압으로 팽창하여 강관과 보링홀 벽 사이를 밀폐합니다.
  • 이를 통해 다른 깊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깊이만 그라우팅할 수 있게 됩니다.

1.3. 그라우트 재료

  • 주입되는 재료는 시멘트 밀크, 벤토나이트 슬러리, 화학그라우트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합니다.
  • 최근에는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저독성 친환경 그라우트 재료도 사용됩니다.

2. 시공 절차

2.1. 보링(Boring)

  • 먼저 보링기 또는 로터리 드릴을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까지 천공합니다.
  • 직경은 보통 강관 외경보다 1.5~2배 정도 크게 천공하여 주입 시 마찰력을 최소화합니다.

2.2. 강관 설치

  • 주입 구간(스테이지)에 맞춰 패커와 주입공이 설치된 강관을 하강시켜 천공 구멍 내에 삽입합니다.
  • 지표면에서부터 최하단까지 설치 후, 각 주입 구간을 정확히 설정합니다.

2.3. 다단 그라우팅

  • **하부 단계부터 상부 단계로 순차적(상향식)**으로 그라우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각 단계에서는 패커를 확장하여 해당 구간을 밀폐하고, 그라우트를 고압으로 주입합니다.
  • 주입 후에는 주입 압력과 주입량을 기록하여 품질을 확인합니다.

3. 적용 목적 및 장점

3.1. 목적

  1. 지반 강화: 느슨한 지반이나 균열이 있는 암반의 강도 증가
  2. 차수성 확보: 지하수 흐름 차단 및 침투 방지
  3. 지하수 오염 차단: 오염원의 확산을 막기 위한 방어벽 설치
  4. 기초 안정성 확보: 터널, 댐, 슬로프, 지하 구조물 기초의 안정화
  5. 지하수 우물 보호: 외부 오염원이 지하수 관정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

3.2. 장점

  • 정밀한 제어 가능: 특정 깊이에서만 주입 가능하여 주변 영향 최소화
  • 효율적 시공: 하나의 강관으로 여러 구간 주입 가능
  • 환경 친화적: 불필요한 오염 확산을 방지
  • 유지보수 및 사후조치 용이: 주입 이력과 품질 기록을 기반으로 추가 작업 가능

4. 단점 및 주의사항

  • 초기 시공비가 높음: 장비 및 자재, 정밀 시공 필요
  • 숙련된 기술 인력 요구: 주입 압력, 시간, 양의 정밀한 조절 필요
  • 지반 특성 사전조사 필수: 지질, 지하수위, 투수계수 등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해야 효과적

5. 주요 적용 사례

5.1. 지하철 및 터널 공사

  • 서울 및 대도시 지하철 공사에서 지하수 유입 방지 및 암반 보강에 활용됨.
  • 특히, 터널 전면에 막장 보강용 pre-grouting으로 많이 사용됨.

5.2. 환경 오염 방지 시설

  • 산업단지, 매립지, 군사기지 등에서 지하 오염원 차폐용 방어벽(Grout curtain) 설치 시 적용.

5.3. PFAS 오염 지대 차폐

  • 최근 연구에서는 PFAS 등 신종 유기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barrier로도 연구되고 있음.

6. 최근 동향 및 기술 발전

  • IoT 기반 실시간 주입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되어, 압력·유량·시간 등의 파라미터를 디지털화하여 품질을 제어합니다.
  • 지중 레이더(GPR)지하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주입 구간 설정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있습니다.
  • 친환경 그라우트 재료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이나 유기오염물질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성 그라우트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작업은 지하 환경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고려할 때, 가장 정밀하고 유연한 지반개량 및 차수 기술 중 하나입니다. 단순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넘어서, 지하수 보호, 환경오염 확산 차단, 지하 생태계 보존 등 환경공학적 가치도 매우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수문지질학 및 환경지질학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