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문 2

왜 MDPI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지 말아야 하는가?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몇 년 동안 부실 의심 학술지에 대한 계도 교육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왔습니다.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올바르게 평가받고, 학술 출판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이러한 부실 의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경우 연구 과제 선정 평가에서 불이익을 주겠다고 천명하였습니다. 이는 연구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 학자들, 특히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MDPI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사례가 상당히 많습니다. MDPI는 오픈 액세스 출판사로, 비교적 빠른 심사 과정과 높은 게재율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연구자 본인과 학문 공동체에..

과학 2024.08.09

학위논문과 학술지(저널)논문은 다르다

대학원은 학부와 달리 대부분 학위논문을 작성하여 학위를 합니다. 요즘은 대학에 따라서 학술지 논문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 대학만 하여도 석사의 경우 SCOPUS 등재지 이상의 학술지에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하면 그것으로 석사학위 논문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 장관이나 고위직 공무원의 청문회에서 논문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차이를 모르고 우격다짐으로 몰아붙이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언론사의 기자들도 잘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후보들은 자주 연구윤리가 확립되기 전이라고 자신의 논문의 문제를 핑계 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차이를 이해하면..

과학 2023.12.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