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하수 4

도심지 싱크홀의 발생 원인, 사례 및 대응 방안

도심지 싱크홀이란 무엇인가?도심 지역에서 지반이 갑자기 함몰되는 싱크홀(sinkhole) 또는 땅꺼짐 현상은 최근 빈번히 발생하며 시민 불안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지반침하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이 복합되어 발생하며, 좁은 국토에 인구와 시설물이 밀집한 한국의 도시에서 특히 큰 위험을 초래한다​. 실제로 2018년부터 2025년 초까지 전국에서 1,345건의 싱크홀 사고가 보고되었으며, 이 중 인명 피해를 동반한 사고가 57건(사망 3건 포함)이나 된다​. 아래에서는 도심지 싱크홀의 주요 발생 원인, 국내외 사례, 그리고 예방 및 관리 방안과 관련 연구·정책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1. 도심지 싱크홀의 발생 원인도심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 실제 ..

카테고리 없음 2025.03.29

서울 명일동 싱크홀 사망: 그라우팅 약액 주입했나?

2025년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는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닌, 인재(人災) 가능성이 제기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사고로 한 시민이 목숨을 잃었고, 사고 지점 지하에서는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공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특히 지반이 풍화토로 이루어진 데다 지하수와 경사로가 존재하는 복합적인 조건에서, 지반을 보강하고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시행됐어야 할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작업’이 부실하게 이루어졌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에는 강관만 남아 있을 뿐, 시멘트나 약액 주입의 흔적이 보이지 않아 정밀 시공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으며, 실제로 소방당국도 약액 흔적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과학 2025.03.28

감자튀김이 미국 지하수 고갈의 원인

최근 미국 뉴욕 타임스는 미국 수자원 자료를 분석하여 맥도널드에 납품하는 감자 농장에서 지나치게 지하수를 많이 사용하여 지하수 고갈이 발생한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한국에서는 좀 덜하지만 제가 2014-2015년 미국에 안식년으로 가 있었을 때 정말 햄버거와 감자튀김(프렌치프라이)을 많이 먹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런 감자튀김 때문에 미국의 지하수층(대수층) 고갈이 발생한다니 놀랍기만 합니다. 지하수 고갈의 주범 감자튀김 미국의 지하수층이 고갈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음 미국인이 좋아하는 햄버거 가게에서 사먹는 감자튀김이 주범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강수량이 줄어들자 이런 패스트푸드점에 감자를 공급하는 농장에서 감자의 모양을 잘 내기 위해 과다한 지하수를 뽑아 올려 사용함으로써 대수..

물이야기 2023.09.08

미국의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다: 뉴욕타임스

며칠 전 뉴욕 타임스는 미국이 마치 내일이 없는 것처럼 지하수를 마구 사용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히 찾아보기 힘든 매우 흥미로운 심층적인 분석을 담은 기사입니다. 과거 풍부한 지하수는 미국을 만들고 광대한 도시들과 농장을 만드는데 일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미국인들이 그러한 유산을 낭비하고 있습니다. 뉴욕 타임스가 미국 전역 8만 4천여 개의 지하수관정 자료의 분석을 통해 미국의 번영을 위협하는 큰 위기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 지난 40년 간 거의 절반에 가까운 곳에서 자연적으로 채워지는 것 이상으로 지하수를 과하게 양수하여 수위(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10군데 중에서 4군데가 전기간 최저 수위를 기록하였고 지난해 가장 심..

물이야기 2023.09.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