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공지능 6

대학에서 DeepSeek 접속 차단

DeepSeek 정보 수집 논란과 연구자의 데이터 보안최근 인공지능 기반 검색 및 연구 보조 도구인 DeepSeek이 정보 수집 논란에 휩싸이면서 연구자 여러분께서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가지시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DeepSeek의 사용을 차단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연구자 여러분의 데이터 보호와 보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eepSeek의 정보 수집 논란과 연구자 여러분께서 고려하실 수 있는 데이터 보안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DeepSeek의 정보 수집 논란DeepSeek은 중국 기반의 인공지능 검색 엔진으로, 고급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논문 검색, 요약, 번역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최근 사용자들 사이에서 ..

과학 2025.02.17

DeepSeek의 창립자이자 CEO인 량원펑(梁文锋)의 경력

DeepSeek의 창립자이자 CEO인 량원펑(梁文锋)은 중국의 저명한 AI 연구자이자 기업가입니다. 1985년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난 그는 저장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며 컴퓨터 비전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을 키웠습니다. 이후 2015년, 그는 AI를 활용한 주식 투자 자동화를 목표로 하는 헤지펀드인 High-Flyer Quant를 공동 설립하여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습니다. 2023년, 량원펑은 항저우에 본사를 둔 AI 스타트업 DeepSeek을 설립하였습니다. 이 회사는 인공지능의 민주화를 목표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오픈 소스로 공개하여 전 세계 누구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DeepSeek의 대표적인 모델인 DeepSeek-R1은 OpenAI의 GPT-4와 유사한 ..

과학 2025.01.30

DeepSeek에 물어본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DeepSeek에게 시진핑에 대하여 물어보았습니다. 질문은 "시진핑이 누구인지 나이, 출신, 학력 및 경력에 대하여 알려주세요"라고 하였더니 답이 아래와 같습니다.  처음에는 답을 할 것처럼 여러가지 생각을 하더니 결국은 상기와 같은 대답을 반복합니다. 아무리 DeepSeek가 성능이 chatGPT보다 좋다고 하나 자기 나라 지도자의 기본적인 정보조차 제공하게 하지 못하는 폐쇄성으로 무슨 글로벌 경쟁력이니 뭐니를 한다는 것인지 참으로 한심합니다. 하기 이나라가 독재국가인지 이미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기술개발을 하고 국제사회에 기여를 하려면 개방을 하지 않고는 어림도 없습니다. 아무리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으려고 하여도 정보에 대한 개방이 아니고는 불가능합니다. 똑같은 것을 chatGPT에 물어보니 답은 ..

과학 2025.01.28

학술에서 대용량 언어모델의 사용에 대한 윤리규정 현황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같은 인공지능을 논문 작성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윤리 규정은 현재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일부 학술지와 기관에서는 관련 지침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1. 학술지의 지침 제정 현황네이처(Nature): 2023년 1월, 네이처는 대규모 언어 모델의 윤리적 사용과 관련하여 두 가지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첫째, 대규모 언어 모델은 연구 논문의 저자로 인정될 수 없으며, 둘째, 이러한 모델을 활용한 경우 그 사용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타 학술지: 다른 학술지들도 생성형 AI의 활용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학술지는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작성된 텍스트를 논문에 포함할 수 있지만, 그 사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정확..

과학 2025.01.26

이제 영어 공부하지 않아도 된다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는 학교에서 영어를 문법 위주로 가르칩니다. 이런 이유는 가르치는 교사도 말(스피킹)을 잘 못할뿐더러, 문법식의 교육은 가르치기도 쉽고 그리고 문제 내기도 쉬워서 일 것입니다. 학교와 학원이 공고한 카르텔을 형성하여 문법 위주의 자기들 밥벌이를 위한 영어교육을 오랜 기간 유지해 온 것입니다. 제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영어 교사들이 영어를 유창하게 말하지 못하였습니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프리카나 동남아에서 온 여러 학생들을 보면 우리보다는 영어를 곧잘 합니다. 별로 성적이 좋지 못한 학생도 말입니다. 영어를 문법이 아니라 듣기와 말하기 위주로 배우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저 같이 서울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한 사람도 즉 공부와..

일상 2024.05.24

구글(Google)의 초기 AI 실험버전 Bard 사용 후기

오늘 구글에 접속을 하였더니 아래와 같이 구글에서 초기 인공지능 실험버전 바드(Bard)를 출시하였다면서 사용해 보라는 안내가 떴습니다. 아마도 ChatGPT나 Askup같은 것이겠지요. 그래서 바로 바드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사용하고 나서 느낌을 말해드립니다. 위에 있는 Bard를 사용해 보세요를 클릭하니 자동으로 구글 이메일 계정이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그리고 구글 메일계정으로 Bard를 사용해 보세요라고 이메일이 옵니다. 파란색의 Bard 사용해 보기를 클릭하니 바로 사용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이 바드도 아숙업이나 챗봇과 같이 첫화면은 거의 같습니다. 1️⃣ Bard(바드)에 일 시켜보기 우리나라에서 건강에 좋은 먹는샘물(생수)를 소개해주세요라고 주문을 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아래와 ..

과학 2023.05.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