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후변화 3

이산화탄소(CO2)보다 더 온난화에 큰 영향을 주는 메탄(CH4)

지구온난화 혹은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이산화탄소를 지적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인위적인 배출이 아니너라도 지구 대기에 상당량이 있습니다. 초기 지구에 높은 농도로 있다가 해양 등에 저장됨으로써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가 저감 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복사가 지표에서 반사되어 장파장이 될 때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두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자연적인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외에 인간이 화석연료 등을 소비함에 따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양이 많아지면서 온난화를 촉발시키게 되었습니다. 지구내부에 여러 광물 형태로 갇혀 있던 탄소를 바깥으로 퍼지게 한 것입니다. 화석연료를 태우면 산화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나오는데 처음에 나무를 땔감으로 할 때는 그 양이 미미하였습니다..

과학 2024.02.10

감자튀김이 미국 지하수 고갈의 원인

최근 미국 뉴욕 타임스는 미국 수자원 자료를 분석하여 맥도널드에 납품하는 감자 농장에서 지나치게 지하수를 많이 사용하여 지하수 고갈이 발생한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한국에서는 좀 덜하지만 제가 2014-2015년 미국에 안식년으로 가 있었을 때 정말 햄버거와 감자튀김(프렌치프라이)을 많이 먹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이런 감자튀김 때문에 미국의 지하수층(대수층) 고갈이 발생한다니 놀랍기만 합니다. 지하수 고갈의 주범 감자튀김 미국의 지하수층이 고갈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음 미국인이 좋아하는 햄버거 가게에서 사먹는 감자튀김이 주범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강수량이 줄어들자 이런 패스트푸드점에 감자를 공급하는 농장에서 감자의 모양을 잘 내기 위해 과다한 지하수를 뽑아 올려 사용함으로써 대수..

물이야기 2023.09.08

미국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의 이산화탄소 경향

미국의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에서는 지속적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변동경향을 모니터링합니다. 여기가 전 세계의 대표되는 관측지점이라고 보면 됩니다. 지구의 기후변화 혹은 기후온난화를 직접적으로 증명한 자료도 바로 이곳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킬링곡선 처음에는 지구온난화가 확실한 것인지 그것의 원인이 이산화탄소 때문인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하와이 마우나로아 정상에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기후변화를 증명한 찰스 데이비드 킬링 교수의 이름을 따서 킬링 곡선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그의 아들 킬링 교수가 여전히 지속적으로 관측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우나로아 관측소 NOAA에 소속된 마우나로아 관측소에 들어가면 그동안 관측한 각종 자료들을 ..

과학 2023.07.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