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이야기 17

고환과 정액에서도 미세플라스틱 검출

최근 국제저명학술지인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남자의 고환과 정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고 보고 했다(Zhao et al., 2023). 이에 대해 알아본다. 저자들 대부분 북경대이 논문의 저자들은 모두 7명이며 주저자 및 다수가 북경대학교(베이징대학, 병원(제1 및 제3병원) 소속이다. 이 논문은 단보로 출간되었는데 본격적인 연구에 앞선 단편적인 연구성과로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본격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지시한다. 고환과 정액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이들 연구자들은 6개의 고환시료와 30개의 정액시료를 채취하여 py-GC/MS와 LD-I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액에서는 mL당 평균 0.2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그리고 고환에서는 g당 평균 11.6..

물이야기 2023.04.06

물의 맛을 좌우하는 요인

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 중에서 가장 신비한 물질 중의 하나이다. 인류는 물에서 왔고 물 근처에 문명을 건설하였다. 사람은 음식 없이는 오래 버티지만 물 없이는 일주일만 지나도 사망에 이른다. 일상생활에서 매일 마시는 물의 맛을 좌우하는 요인에 어떤 것이 있을까 알아본다. 맛있는 물 물은 맛이 없는 순수한 물이지만, 맛있는 물을 만드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차가운 물 - 물이 차갑다면 물이 상쾌하고 맛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을 냉장고나 얼음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청량감 있는 물 - 탄산이 들어있는 물은 청량감이 있어 물의 맛을 더욱 상쾌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물의 원산지 - 물의 원산지가 좋으면 물의 맛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하수나 암반수가 더욱 순수하고 맛있는..

물이야기 2023.03.26

지하수 펌프의 종류와 가격

지하수 펌프는 지하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종류와 가격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펌프는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됩니다. 지하수펌프의 종류1. 서브머시블 펌프 (Submersible Pump) -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 - 수심이 깊은 지하수를 얻기 위해 주로 사용됨 - 가격은 100만 원 이상부터 시작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가격이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표면 펌프 (Surface Pump) - 지하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 - 수영장, 정원 등에서 사용되며, 서브머시블 펌프에 비해 낮은 가격대를 가집니다. - 가격은 50만 원 이상부터 시작됩니다. 3. 자동화 펌프 (Automatic Pump) - 수위가 일정 이하로 내려갈 때 자동으로 작동하는 펌프 - ..

물이야기 2023.03.24

좋은 생수를 고르는 법

국내에는 많은 수의 생수(먹는샘물)가 시판되고 있다. 각자 자기 물이 좋다고 자랑하지만 어느 것이 좋은지 명쾌한 기준이나 방법이 없다. 전문가들마다 하는 말이 다르고 특정 생수가 좋다는 말은 선뜻 동의하기가 어렵다. 물론 개인적 취향 혹은 경험을 비하하거나 무시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보편적인 기준이나 방법은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생수를 고르는 방법 1. 국내 생산 생수 구매: 국내 생산 생수는 국내 품질 검사 기준을 통과한 제품이므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2. 브랜드 및 제조사 확인: 대표적인 브랜드 및 제조사는 안전하고 품질이 높은 제품을 제공하므로, 브랜드와 제조사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라벨 확인: 생수 라벨에는 생산일자, 유통기한, 원재료, 보관 방..

물이야기 2023.03.24

눈은 비보다 천천히 침투한다

요 며칠 사이 상당히 많은 눈이 내렸다. 최근에는 눈이 한번 내리면 그 양이 많다. 이것도 기후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눈은 어떻게 침투하는지 궁금하다. 눈의 침투이렇게 내린 눈들은 날이 포근해지면 천천히 녹으면서 지하로 침투한다. 눈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토양수분으로 지하에 잡히게 되고 양이 많으면 더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된다. 미국 콜로라도의 경우 로키산맥에 겨우내 내린 눈이 이 지역의 수자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눈이 적게 내리면 봄 가뭄을 유발한다. 제주도의 경우에도 수자원으로서 눈이 매우 중요하다. 남부 지방의 가뭄이 극심하다니 큰일이다. 눈의 특성눈은 물이나 얼음보다 상당히 밀도가 낮다. 그래서 상당 두께의 눈이 와도 물의 양으로는 얼마 되지 않는다. 흔히 우리가 오해하는 ..

물이야기 2023.01.18

눈은 언제 지하로 침투하나

오늘 등산을 갔다 내려오면서 문득 지금 내린 눈이 언제쯤 녹아서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되나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일반적으로 비는 오는 즉시 토양으로 침투하여 토양수분이나 더욱 깊게 침투하여 포화대로 들어가면 지하수가 된다. 그런데 눈은 언제 어떻게 들어가는 걸까? 눈의 침투과정드러난 나무뿌리와 토양 위에 있는 눈을 보면서 지금은 추워서 바로 녹지는 않겠지만 언젠가는 따뜻해지면 봄이 되기 전이라도 녹을 것이다. 녹는 과정을 탐구할 수 있다면 좋을 텐데. 물감 같은 것을 뿌려 눈을 착색시키면 토양으로 침투하는 것을 추적할 수 있지 않을까? 일반적으로 비가 지하수의 주요 함양소스가 된다. 그러나 눈 또한 지하수 함양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는 이런 연구가 상당히 미흡하다. 캘리포니아 가뭄에는 ..

물이야기 2023.01.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