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재해 2

홍수의 주요 원인, 역대급과 대책

홍수는 지역적으로 폭우, 눈 등과 같은 것으로 인하여 강과 호수 등의 수체에서 급격하게 물이 상승하여 주변 지역으로 범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홍수는 거침, 대수, 출수라고도 하며 순우리말로는 큰물, 시위, 물마, 물 넘침이라고도 합니다. 홍수는 대량의 물이 덮치면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 중의 하나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생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홍수의 주요원인 홍수의 주요 원인으로는 가장 기본적으로는 강우량의 증가입니다. 폭우나 장기간의 비로 인해 토양이 포화되고 더 이상의 물을 저장하지 못하면 빠르게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홍수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봄철에 눈이나 얼음이 녹아 발생하기도 합니다. 록키산맥 인근이나 히말라야 산맥의 아래 지역에서는 봄에 눈..

물이야기 2023.08.18

잦은 동해 지진 큰 지진의 징조인가

강원도 동해 해역에서 연속으로 지진이 20여 차례 발생하였습니다. 이 지진으로 인하여 특별한 피해가 발생한 것은 없지만 조그만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것이 큰 지진의 징조가 아니냐는 걱정이 많습니다. 과거 이 동해지역은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두 번이나 발생한 지역입니다. 이 지진의 진앙으로부터 반경 50 킬로미터 내의 지진을 정리하면 1978년부터 지금까지 총 35 차례 발생하였는데 이중 32건이 올해 발생하였는데 이것을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기상청은 이런 작은 지진은 별로 의미가 없다고도 하고 또 어떤 지진 전문가는 무시할 일이 아니다고 합니다. 잦은 접촉사고나 경미한 교통사고는 큰 대형사고의 발생을 말한다고 합니다. 자연도 우리와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

과학 2023.04.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