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혜택

hydrolee 2025. 2. 5. 09:17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대한민국 정부가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한 금융 상품입니다. 이 계좌를 통해 청년들은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으며, 정부는 이에 대해 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6%의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또한,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제공되어 청년들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가입 대상:

  • 연령: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 대상입니다.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복무 기간(최대 6년)을 연령 계산에서 제외하여 가입 연령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 소득: 개인 소득이 연 6,000만 원 이하이며,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인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약 374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저축 및 지원 내용:

  • 저축 한도: 매월 최소 1,000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에 따라 납입액의 3%에서 최대 6%까지 정부가 지원금을 매칭하여 적립해 줍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납입액 중 40만 원까지 6%의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이자 소득 비과세: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가입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지정된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은 매월 초에 진행되며, 자세한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다음의 11개 은행에서 개설하실 수 있습니다:

  1. 국민은행
  2. 신한은행
  3. 하나은행
  4. 우리은행
  5. 농협은행
  6. 기업은행
  7. 부산은행
  8. 대구은행
  9. 광주은행
  10. 전북은행
  11. 경남은행

각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은행의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유의사항:

  • 중도 해지: 5년의 만기 전에 계좌를 해지할 경우,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사망, 해외 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의 특별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혜택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 소득 변동: 가입 후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정부 기여금도 계속 지원됩니다. 그러나 소득 증가로 인해 비과세 혜택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하고 재정적 안정을 추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가입을 고려하신다면, 자신의 재정 상황과 목표를 충분히 검토하신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