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연방정부는 1976년 이후 총 22차례의 셧다운을 경험했습니다. 이 중 10회는 연방 공무원들이 강제 휴가에 들어가는 등 정부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요 셧다운 사례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발생 연도 기간 주요 원인 비고
1980년 | 1일 | 연방거래위원회(FTC) 관련 법안 만료로 인한 예산 공백 | 1,600명 강제 휴가, 약 70만 달러 손실 |
1981년 | 1일 | 예산 삭감에 대한 의회와 행정부 간 갈등 | 24만 1천 명 강제 휴가, 약 8천만~9천만 달러 손실 |
1984년 | 1일 | 예산안 지연으로 인한 임시 지출 법안 부재 | 50만 명 강제 휴가, 약 6,500만 달러 손실 |
1986년 | 1일 | 예산안 지연으로 인한 임시 지출 법안 부재 | 50만 명 강제 휴가, 약 6,200만 달러 손실 |
1990년 | 3일 | 부시 대통령의 세금 인상 제안에 대한 반발 | 2,800명 강제 휴가, 약 257만 달러 손실 |
1995년 11월 | 5일 | 클린턴 행정부의 예산안과 공화당 주도의 의회 간 대립 | 80만 명 강제 휴가, 약 4억 달러 손실 |
1995년 12월~1996년 1월 | 21일 | 클린턴 행정부의 예산안과 공화당 주도의 의회 간 대립 | 28만 4천 명 강제 휴가 |
2013년 | 16일 | 오바마케어(ACA) 시행을 둘러싼 갈등 | 80만 명 강제 휴가, 약 24억 달러 손실 |
2018년 1월 | 3일 | 이민 정책과 예산안 갈등 | 69만 2,900명 강제 휴가 |
2018년 12월~2019년 1월 | 35일 | 트럼프 행정부의 멕시코 국경 장벽 예산 요구로 인한 대립 | 38만 명 강제 휴가, 약 50억 달러 손실 |
셧다운이 발생하면 연방정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합니다:
- 비필수 업무 중단: 국방, 치안 등 필수 기능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부 부처와 기관의 운영이 일시 중단됩니다. 예를 들어, 국립공원은 폐쇄되며, 여권 발급 등의 서비스도 지연될 수 있습니다.
- 공무원 무급 휴가: 전체 연방 공무원 중 필수 인력을 제외한 다수가 무급 휴가에 들어갑니다. 필수 인력으로 분류된 공무원들은 급여 지급이 지연될 수 있지만, 업무를 지속합니다.
- 경제적 영향: 셧다운이 장기화되면 경제 성장 둔화, 소비 위축, 기업 투자 감소 등 다양한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3년 셧다운 당시 미국 경제는 약 24억 달러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셧다운 기간과 범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연방정부는 필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예산안 통과를 위해 의회와의 협상을 지속합니다. 그런데 단 한 번도 연방정부가 의회가 예산을 통과시켜주지 않거나 삭감했다고 계엄을 선포한 일이 없다는 것은 놀랍습니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열대 대만 추위로 수백 명 사망: 여행객 주의 요망 (0) | 2025.02.09 |
---|---|
사이비 교주가 되는 법: 에릭 호퍼의 저서 맹신자들 (0) | 2025.02.09 |
경제적으로 어려운 대학생 주거 지원 월 20 만원 (0) | 2025.02.05 |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혜택 (0) | 2025.02.05 |
예수님은 좌파일까 우파일까: 인공지능에 묻다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