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 70

우주에서 온 로또 운석: 개념과 사례

"로또 운석"은 운석 발견 및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제적 가치와 드문 확률 때문에 붙여진 별명으로, 일반적으로 아주 귀한 유형의 운석이나 특별한 과학적·상업적 가치를 지닌 운석을 지칭합니다. 이러한 운석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며, 과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개인 소유 및 경매에서 고가로 거래되기도 합니다. 1. 운석의 정의와 기원운석(meteorite)은 우주에서 생성된 암석이나 금속 물질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지표에 도달한 물체를 말합니다. 운석의 기원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소행성대: 대부분의 운석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서 유래합니다.달 및 화성: 극히 일부 운석은 달과 화성에서 형성된 물질이 우주 충돌로 인해 떨어져 나온 것입니다.혜성: 드물게 혜성 기원의 운석도 발견됩니다.운석..

과학 2025.01.18

일차전지와 이차전지의 차이점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건전지는 일차전지라고 합니다. 일차전지는 여러 가지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차전지도 있습니다. 이 두 전지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일차전지와 이차전지는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전지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그 차이는 주로 재사용 가능성, 화학 반응의 가역성, 응용 분야 등에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전지의 개념, 특징, 차이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일차전지 (Primary Battery)개념일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면 방전 후 다시 충전할 수 없는 전지입니다.내부의 화학 반응이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특징비가역적 반응: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됩니다. 방전이 완료되면 내부 물질이 더 이..

과학 2024.11.30

복수학위와 공동학위의 차이와 장단점

최근에 컴퓨터공학과 교수님으로 부터 호주의 한 대학으로부터 우리 대학 대학원생에 대하여 공동학위를 하고 싶은데 의향이 있는지 그리고 현재 이와 관련한 우리학교의 규정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저도 담당 처장이기는 하지만 아직 이 부분에 대하여 잘 알지를 못하여 대학원 담당 선생님에게 알아보도록 지시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담당 선생님과 말씀 하는 사이에 명칭에 혼선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저는 별 생각없이 외국대학과 공동으로 하는 것에 복수학위와 공동학위가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두 학위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복수학위와 공동학위는 국제적으로 협력하는 대학들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학위 프로그램의 형태로, 주요한 차이점은 학위 수여 방식과 프로그램의 운영 구조에 있습니다. 아래에..

과학 2024.11.30

2024 피인용 상위 1% 연구자

클레리베이트에서 Web of Science (WoS) 데이터베이스 기준으로 지난 10년간 가장 많은 논문 인용을 보인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s)를 분야별로 발표했습니다.한국에는 올해 75명의 연구자가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서울대가 가장 많고 몇몇 거점국립대에 1명의 연구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으로 매우 영광스러운 일일 것 같습니다. 클레리베이트에서 HCR에 대하며 인증서를 개별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어떤 학교는 총장님이 클레리베이트의 인증서를 전달하는 세리머니를 하는 모양입니다. HCR에 선정되는 것은 매우 좋은 일이지만 일부 상업회사의 상품에 놀아난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한편 이 인증서를 무슨 상으로 해석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상은 아니고 감사패 이런 것도 아닙니다..

과학 2024.11.21

에라스무스 플러스(Erasmus +) 프로그램 참가

얼마 전 터키의 한 대학의 교수로부터 제 포닥에게 메일이 하나 와서 저에게 전달해 주었습니다. 내용인즉 자기 학과가 EU의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는데 교수와 학생들이 우리 대학의 같은 전공의 학과를 교환 방문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이 방문에 드는 비용은 저기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므로 우리가 돈 쓸 일은 없고 또 우리의 교수와 학생이 방문한다면 자기들이 다 대준다고 합니다. 저는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처음 들어 보는 거라 찾아보니 나무 위키에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에라스무스 프로그램(European Region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은 유럽 연합에 속한 나라들 사이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이다.학생들이 여러 나라에서 견문..

과학 2024.11.10

일본 난카이 지진의 발생 기작, 사례, 영향 및 전망

1. 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은 일본의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매우 중요한 자연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이 지진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난카이 지진은 일본의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지진으로, 일본의 지질 구조에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본은 세계에서 지진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특히 태평양 "불의 고리"(Ring of Fire)에 위치해 있어 지각 활동이 매우 활발합니다.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 판과 유라시아 판이 충돌하는 지점으로,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매우 강력하며 일본의 남서부 지역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난카이 지진은 역사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해 왔으며, 그 규모와 피해는 일본 사회에 깊은 상흔을 남겼습니다. ..

과학 2024.08.17

왜 MDPI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지 말아야 하는가?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몇 년 동안 부실 의심 학술지에 대한 계도 교육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왔습니다.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올바르게 평가받고, 학술 출판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이러한 부실 의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경우 연구 과제 선정 평가에서 불이익을 주겠다고 천명하였습니다. 이는 연구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 학자들, 특히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MDPI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사례가 상당히 많습니다. MDPI는 오픈 액세스 출판사로, 비교적 빠른 심사 과정과 높은 게재율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연구자 본인과 학문 공동체에..

과학 2024.08.09

전북 부안에 진도 4.8의 지진 발생, 지난 10년 지진

오늘 아침 일찍 전북 부안에서 진도 4.8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우리나라 같이 비교적 지진에 안전한 지역에서 요즘은 심심치 않게 지진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규모 4.8이면 상당히 큰 규모입니다. 규모 3.0 이상을 사람이 감지하는 유의미한 지진으로 간주하는데 저 정도면 인근 주민들은 상당한 피해를 보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난 10년간 지진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규모와 강도의 지진이 기록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진들은 대부분 비교적 작은 규모였으나, 몇몇은 상당한 피해를 일으켰습니다. 1) 2016년 경주 지진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1978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지..

과학 2024.06.12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 그리고 수련의, 전공의, 전임의 그리고 교수의 구분

일반의와 전문의 일반의와 전문의는 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들의 주요 차이점은 교육 및 훈련 과정에 있습니다. 일반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하여 의사 면허를 취득한 사람을 말합니다. 이들은 의료 행위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으나,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습니다. 전문의는 일반의 상태에서 더 나아가 특정 전문 분야의 교육과 훈련을 받은 의사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치며 자신이 선택한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의사가 레지던트 과정을 마치고 자신의 전공과는 다른 분야로 의료 활동을 시작한다면, 그 의사는 그 분야에서는 일반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전문의와 일반의 사이에는 교육 및..

과학 2024.04.05

황사의 계절 반드시 마스크 착용

황사의 계절입니다. 황사는 중국, 몽골 등에서 하늘로 비상한 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사막지역에서 우리의 봄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황사는 미세먼지와 크기가 약간 크거나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참고로 미세먼지는 PM10이라고 하여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성 물질을 말하고 PM2.5는 초미세먼지로 2.5 마이크로미터 이하를 말함). 그러나 황사는 그 원인이 자연적인 사막 혹은 사막화 지역에서 불어오는 자연 광물성 물질입니다. 황사에는 석영, 장석 등 광물성 물질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황사는 초봄에 많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그에 반에 미세먼지 혹은 초미세먼지는 상당 부분 국내 원인입니다. 서해안 석탄화력 발전 분진, 공장의 매연, 난방에 의한 먼지, 각종 공사장의 ..

과학 2024.03.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