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51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안전하다고요?

영국 명문 옥스포드대에서 은퇴한 명예교수가 우리나라에 와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하면서 자기 보고 마시라고 하면 1L도 마실 수가 있다고 하였다고 합니다(그다음 날에는 10L도 마신다고 했습니다). 어떻게 이런 어이없는 정말로 괘변을 할 수가 있는지 노망이 들어도 한참 든 양반입니다. 아니 양반이 아니라 쌍놈입니다. 상식적으로 말해서 그렇게 먹어도 되는 물이면 오염수를 그냥 일본사람들이 식수로 사용하면 되지 뭐 하러 바다에 방류하겠습니까? 더군다나 엄청난 돈을 들여서 원전 앞 1 km나 파이프를 묻어서 멀리 방류를 왜 하겠습니까? 그냥 줄줄 새도록 내버려 두면 되지요? 도대체 이런 노망 난 늙은이를 누가 데리고 와서 망발을 하게 만든 것인지 참으로 한심합니다. 은퇴했으면 놀러나 다니세..

과학 2023.05.19

구글(Google)의 초기 AI 실험버전 Bard 사용 후기

오늘 구글에 접속을 하였더니 아래와 같이 구글에서 초기 인공지능 실험버전 바드(Bard)를 출시하였다면서 사용해 보라는 안내가 떴습니다. 아마도 ChatGPT나 Askup같은 것이겠지요. 그래서 바로 바드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사용하고 나서 느낌을 말해드립니다. 위에 있는 Bard를 사용해 보세요를 클릭하니 자동으로 구글 이메일 계정이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그리고 구글 메일계정으로 Bard를 사용해 보세요라고 이메일이 옵니다. 파란색의 Bard 사용해 보기를 클릭하니 바로 사용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이 바드도 아숙업이나 챗봇과 같이 첫화면은 거의 같습니다. 1️⃣ Bard(바드)에 일 시켜보기 우리나라에서 건강에 좋은 먹는샘물(생수)를 소개해주세요라고 주문을 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아래와 ..

과학 2023.05.18

전기요금 왜 가정용만 많이 비싸나?

16일부터 전기요금이 오른다고 합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으면 수급이 여전히 수월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코로나로 시장된 국제 무역의 단절과 미-중, 미-러 등의 갈등으로 세계 경제는 점점 어려움을 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와중에 그동안 미루어왔던 전기요금의 인상이 단행되었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을 의식하여 그렇게 많이 올린 것은 아니라는 말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은 단가가 비싸고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싸다고 합니다. 언듯 생각하면 돈벌이하는 곳에 더 비싸게 받아야 할 것 같은데 오히려 생활용에 더 비싼 요금을 부과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여름이면 가게들은 문을 열어 놓은 채 에어컨을 빵빵하게 ..

생활일반 2023.05.16

대통령 G7 정상회의 참석 언제 우리는 회원국 되나

대통령이 5월 19~21일에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고 합니다. 이후 한미일 3국의 정상들이 따로 만나 회의를 한다고 전해집니다. 최근에 우리나라 대통령이 일본과 미국을 다녀오고 또 이런 다자간 회의도 하는 등 바쁘게 국제관계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 같습니다. 대통령의 행보와 언행에 대한 호, 불호를 떠나서 G7 정상회의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G7 정상회의 G7은 Group of Seven (7)의 줄임말로 여기에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가 속하는데 경제적 관점에서 강대국을 분류한 것으로 국제통화기금에서 이들 국가를 명실공히 주요 경제선진국으로 인정하며 이들 7개국이 가진 전 세계의 부의 약 60%를 가지고..

생활일반 2023.05.14

미국의 선생님 감사 주간(Teacher Appreciation Week)과 우리나라 스승의 날 비교

오는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과거에는 학생들이 모여서 스승의 은혜라는 노래도 부르고 선물도 준비하여 드렸을 텐데 김영란법이 생기고 나서는 이런 행사와 선물이 없어졌습니다. 아마도 이 김영란법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학생들과 그리고 어른들이 편안해졌는지 모릅니다. 어쩌면 선생님들 중에도 그동안 부담스러웠는데 오히려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Teacher Appreciation Week이라고 선생님 감사주간이 있습니다. 두 가지를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1️⃣ 우리나라 스승의 날 우리나라에서 스승의 날은 5월 15일입니다. 공식적으로 1964년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날은 세종대왕 탄신일과 일치합니다. 세종대왕은 우리 민족의 스승이라는 것과 상당히 잘 통하여 탄신일을 스..

생활일반 2023.05.13

김남국의 코인 위믹스 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달라

요새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위믹스로 세상이 시끄럽습니다. 가상자산(암호화폐)은 고위공직자의 재산 신고대상이 아닌 란 걸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근데 국회의원이라는 사람이 의정활동도 바쁠 텐데 그 사이 어떻게 이런 것을 공부해서 상당히 깊이 알아서 청문회 와중에도 짬짜미 거래를 했다는게 놀랍습니다. 더군다나 맨날 돈 없다고 거지라고 징징대더니 어이가 없습니다. 그는 왜 이름도 없는 위믹스를 샀을까요? 유명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도 아니고요? 이들 끼리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알아봅니다. 1️⃣ 비트코인 비트코인(bitcoin)은 2009년 1월 3일 날 일본인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람이 만든 대표적인 암호화폐입니다. 그동안 모든 화폐가 국가 혹은 중앙은행 혹은 금융기관에 의해서 발행되고 통제..

생활일반 2023.05.13

고속열차 KTX와 프랑스 떼제베(TGV) 그리고 유럽 탈리스(Thalys)의 속도 요금 환경 비교

우리나라의 KTX 고속 열차는 매우 빠르고 쾌적합니다. 가끔 대전이나 부산을 갈 때 이용하는데 빠르고 너무 좋다고 생각합니다. 보통은 일반석보다 특실을 이용하는데 요금은 조금 비싸지만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사실 고속열차하면 프랑스의 떼제베입니다. 떼제베는 아직 안 타보았는데 대신 암스테르담에서 파리 가는 특급열차 탈리스 타보았는데 상당히 좋았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은 고속열차인 KTX와 떼제베 그리고 탈리스를 비교해 봅니다. 1️⃣ KTX KTX는 Korea Train eXpress의 줄임말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속열차(철도)입니다. 최고속도는 시간당 300 km입니다. 전에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고속도로로 가면 5시간대 그리고 새마을호 열차를 타고 가면 4시간 40분쯤 걸리던 것을 KTX로 2시간 ..

생활일반 2023.05.11

공룡은 쥐라기 말고도 트라이아스기 백악기도 살았는데요

전 세계에서 공룡만큼 어린이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한국에서는 어린아이들이 공룡의 모습만 보고도 그 어려운 이름을 댈 만큼 큰 관심을 보이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오래전 공룡 영화인 '쥐라기 공원'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금은 살아 있는 공룡을 볼 수가 없기에 어쩌면 상상의 동물로 생각하지만 화석을 통해 이 공룡이 실제 하였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합니다. 그런데 그것을 영화 속에서 재현시켜 보여주니 얼마나 인기를 끌었겠습니까? 그런데 신기하게도 영화에서는 쥐라기에 공룡이 많이 살은 것으로 나오는데 정작 우리나라에는 쥐라기의 공룡이 안 나온다. 이유가 무엇일까? 쥬라기 공원의 과학 『쥬라기 공원의 과학』은 공상과학에서 공산을 배제한, 순수한 ‘과학’의 입..

과학 2023.05.10

우리나라 유일의 합천 운석충돌구와 강원도 해안분지 펀치볼 비교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밝혀진 운석 충돌의 흔적이 있다. 2020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님들의 연구에 의하여 밝혀진 합천 초계분지 운석충돌구이다. 약 5만 년 전 직경 200m의 운석이 떨어져서 만들어져 움푹 파인 지형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 합천 운석충돌구는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유일하게 밝혀진 운석의 충돌 흔적이다. 지구의 형성 초기에 무수히 많은 운석들이 충돌하였고 미국, 러시아 같은 나라에는 엄청나게 많은 흔적들이 남아있지만(전 세계 공식적인 운석충돌구는 200여 개) 우리나라는 여태껏 찾지 못하였다. 또한 달에는 운석이 충돌한 무수히 많은 곰보 자국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것이 처음이다. 이제 그 이야기를 해본다. 딥 임팩트 1998년 미확인 혜성이 지구와의 충돌 궤도에 들어선다. 충돌..

과학 2023.05.09

찰스 3세 영국 국왕 대관식으로 본 전세계 군주제 국가들

6일 영국에서 엘리자베스 여왕을 잇는 찰스 3세 왕세자의 대관식이 있었다. 이 대관식에 미국의 질 바이든 여사, 프랑스 대통령, 캐나다, 호주 총리 등 200여 국에서 최고위 관료들이 참석했다. 이 세기의 대관식에 1700억의 돈이 들었다고 한다. 어떤 영국 국민들은 왕을 반대하여 Not My King을 외쳤다는데 21세기에 왕이라니 이런 게 필요한 것인지 궁금하기만 하다. 현재 세계에는 44개의 군주국가가 있는데 바티칸시국 교황, 일본의 천황(웃긴 짜장인 나라, 지배받는 나라도 없는데 천황은 무슨)같은 제국의 나라, 영국 같은 보통의 왕국, 그리고 규모가 조금 작은 공국으로 나뉜다. 전제군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 브루나이 같은 나라는 여전히 힘이 세고 일본,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국은 상징적인 꼭두각시인 ..

생활일반 2023.05.08
반응형